인지주의 학습theory(이론)과 교수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7:45
본문
Download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hwp
인지주의 학습theory(이론)과 교수방법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기말보고서1






교수설계와 교수체제에 대한 기말시험 문제를 해답과 함께 쓴 글입니다. 따라서 교수설계는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수업이 끝났을 때, 학습자가 무얼 할 수 있기를 바라는지, 즉 수업의 최종goal(목표) 는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 없이 교수설계과정에서 가장 核心적인 부분을 차지해야 할 것이다. 일단 교수goal(목표) 가 선정된 후에는 학습자에 대한 特性(특성) 分析(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hwp( 73 )
2. 교수체제 개발모형을 나름대로 구안하여 제시하여라.
바람직한 교수설계는 교수자와 학습자 어느 한쪽에 치중되어 설계되지 않고, 양자의 입장을 모두 고려한 것이라야 할 것이다.
교수설계를 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교수goal(목표) , 방법, 평가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느냐의 여부다. Dick & Carey(1996)에 의하면, 효과(效果)적이며 성공적인 교수설계를 위하여 체제적 접근을 적용하는 이유는 각 구성요소들 특히 교수전략(strategy)과 기대하는 학습결과간의 관계를 주의 깊게 연결시키며, 또한 체제적 접근을 적용함으로써 평가결과에 의하여 기대하는 성과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수정(feed back)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학습자에 대한 정확한 特性(특성) 分析(분석)…(drop)
다. 또한 단순히 교수 내용을 어떻게 잘 조직하고 구성하여 효과(效果)적인 수업이 될 것인가에 대한 것보다는 어떻게 하면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를 보다 더 유발하고, 학습자들이 보다 더 교수내용에 대하여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해 중점 두어져야 할 것이다. 교수설계의 가장 중요한 核心적인 부분들이라 할 수 있겠다.
※ 나의 교수체제 개발모형
교수목적의 설정과 학습자 分析(분석)
구체적 수업goal(목표) 결정
교수설계에 대한 평가 문항 개발
교수전략(strategy) 개발
교수 프로그램(program]) 실제 제작
교수 프로그램(program]) 중간 평가
총괄평가
교수 프로그램(program]) 수정
모든 理論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것은 교수목적의 설정과 학습자 分析(분석)이다.기말레포트1 ,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교수방법사범교육레포트 ,
교수설계와 교수체제에 대한 기말시험 문제를 해답과 함께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