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대중文化(culture) 의 초국적 소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00:22
본문
Download : 아시아 대중문화의 초국적 소비.hwp
이런 시각에서 이 글에서는, 지구화 맥락에서 아시아 내 주변부 국가 간의 대중文化(문화) 흐름(flow)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文化(문화)의 혼종화(hybridization) 및 文化(문화) 번역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한류’에 관한 사회적 논의는 과장된 측면이 없지 않으나, ‘한류’ 현상은 서구나 Japan 중심의 ‘보편적인’ 대중文化(문화) 흐름과는 다른 측면에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페이퍼97 , 아시아 대중문화의 초국적 소비경영경제레포트 ,






페이퍼97
대만 트렌디드라마와 F4 팬덤을 중심으로 아시아 대중文化(culture) 의 초국적 소비를 introduction한 글입니다.
순서
1. 들어가며
2. 전지구화와 서구-아시아 대중文化(문화)에 대한 재인식
1) 전지구화와 文化(문화)적 각축: 文化(문화) 제국주의 언설을 넘어
2) 탈중심화의 역학과 ‘미국의 전지구적 文化(문화)패권’의 상황
3) 글로벌 - 로컬, 그리고 아시아의 文化(문화) 모더니티
3. 대만 트렌디드라마의 文化(문화)적 형성
4. 대만 트렌디드라마의 초국적 유통과 아시아 미디어 시장
5. 대만 트렌디드라마와 F4 팬덤: 한국적 상황
1) 중화권 대중文化(문화) 소비의 history(역사) 성과 <유성화원>, F4 팬덤
2) 다른 아시아의 근대성과 만나기
3) ‘대만적인 것’을 해석하기
4) ‘대만드라마=유치함, 촌스러움, 저질’의 문제
5) 文化(문화)적 ‘소수’로서의 경험과 팬 정체성
6. 맺으며
90년대 이후 아시아의 젊은층 사이에서 소비되는 대중文化(문화)는 자국文化(문화), 서구文化(문화) 또는 다른 아시아 지역의 文化(문화)가 혼종화된 형태로 각 지역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뒤섞이고 엇갈리는 과정에서 생산된 것이다.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아시아 대중文化(culture) 의 초국적 소비
Download : 아시아 대중문화의 초국적 소비.hwp( 59 )
대만 트렌디드라마와 F4 팬덤을 중심으로 아시아 대중문화의 초국적 소비를 소개한 글입니다. 아울러 초국적 대중文化(문화)소비가 (자국과 타국 모두의 경우) 아시아 국가의 文化(문화)적 근대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는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는지 생각…(省略)
레포트/경영경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