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관로시설의 설계 최적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2 15:12
본문
Download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관로시설의 설계 최적화.hwp
순서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Download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관로시설의 설계 최적화.hwp( 76 )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규모 측면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관로시설에 대한 설계 최적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 서 론
설명

자동집하시설, 관로이송시스템, 관로, 설계
또한 본 관로이송시스템의 적용지역은 대부분 신도시나 재개발단지 등으로 지역적 규모나 쓰레기 발생량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도시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지하매설관로를 이용하여 수거 및 수집하는 관로이송시스템은 기존 청소차에 의한 쓰레기 수거방식의 環境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성, 도시의 어메니티 향상 등의 다양한 advantage으로 외국에서는 새로운 청소선진화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따 국내에서도 2000년부터 가동을 시작한 용인수지2지구 시스템을 시작으로 2005년부터 본격적인 계획하에 2008년 11월 현재, 대규모 단지형 시스템은 가동중 5개소, 공사중 12개소, 설계 및 계획중 21개소에 이른다. 하지만 기술이나 설계는 기술업체별로 다르며, 또한 시설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관망설계 또한 다르게 적용되고 있따
[폐기물]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관로시설의 설계 최적화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로이송시스템의 규모 측면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관로시설에 대한 설계 최적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관로이송시스템은 상하수도관, 가스관 등 다른 지하매설관로와 함께 도시기간시설의 역할을 담당하나 법적으로는 그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따 따라서 본 시스템이 적용되는 신도시나 재개발 사업에서 기존 도시기간시설의 지하매설물이 시공된 후 설계에 반영되거나 차순위로 시공되는 등의 이유로 효율적인 관로시설의 공사가 어려운 실정이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규모 측면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관로시설에 대한 설계 최적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