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묘청의 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03:58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묘청의 난.hwp
-고려 제17대 왕 인종(仁宗)은 15세에 즉위하였으므로, 국내가 어지럽고 민심이 동요하여 음양지리설(陰陽地理說)이 횡행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묘청,난,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회과학] 묘청의 난.hwp( 65 )
묘청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운동(묘청의 난, 1135년 음력 1월 4일 ∼ 1136년)은 승려 묘청 등이 금국정벌론과 서경천도론이 개경 귀족들의 방해로 무산되자 서경(西京:현재의 평양)에서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호(軍號)를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이라 하여 대위국(大爲國)을 선언하고 일으킨 반란이다. 이러한 풍조로…(省略)
[사회과학] 묘청의 난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1.gif)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2.gif)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3.gif)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4.gif)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5.gif)
![[사회과학]%20묘청의%20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C%98%EC%B2%AD%EC%9D%98%20%EB%82%9C_hwp_06.gif)
[사회과학] 묘청의 난 , [사회과학] 묘청의 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묘청 난
설명
순서
[사회과학] 묘청의 난
다. 대위국이라는 새로운 국가이념 차원의 반란은 1년 후 김부식(삼국사기의 편찬 책임자)이 지휘하는 진압군의 공격을 받고 내부 분열을 일으켜 자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