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사 report 2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02:00
본문
Download : 한국 경제사 레포트 2.hwp
이러한 주장과 반대되는 학설이 식민지 수탈론인데, 수탈론은 日本(일본)이 조선을 식민지화 한 이후 日本(일본)이 조선 땅에 행한 경제관련 기반 시설이나 정책들이 조선의 발전을 위함이 아니라 조선을 키워서 수탈하기 위함이였다는 민족주의적 사관에 해당하는 理論이다. 공…(skip)
한국 경제사 report 2
설명
Download : 한국 경제사 레포트 2.hwp( 23 )
한국 경제사 report 2
한국 경제사 레포트 2 , 한국 경제사 레포트 2경영경제레포트 , 한국 경제사 레포트
한국,경제사,레포트,경영경제,레포트
순서
다. 이러한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지주가 창출되었고 이 지주들이 토지를 장악해 지세확보의 원천을 마련하는 데에 있었다고 본다. 근대화론에서는 조선 토지조사사업이 문란한 토지제도를 바로잡아 발전시키는 데에 目標(목표)가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를 수탈론 적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실제로 이러한 토지조사사업은 식민지반 봉건사회의 토대를 구축하여 식민지 수탈의 기반을 확립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한국 안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일제의 식민지 통치와 식민지 정책이 스스로 발전할 능력이 없는 한국민족을 근대화, 개발, 발전시켜주었다는 주장이 대두되어, 교과서에까지 나타나고 있다 일제가 한국인을 수탈했다고 볼 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한국을 개발시켜주고 근대화시켜준 혜택이 크다는 것이 통계적 , 계량적으로 증명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식민지 근대화론의 첫 번째 근거로, 일제의 조선 토지조사사업 (1910~1918년)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토지사유제도를 성립시키고, 토지제도를 근대화시킨 세계사적 의의를 가진 식민지 정책의 업적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두 번째 근거로 1930년 이후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대한제국의 공업화를 추진하여, 1930~1945년 사이 한국의 광산과 공업, 산업혁명, 산업화 등 경제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고, 이러한 사실이 통계상으로 증명되는 사실이라고 주장하며, 마지막으로 그 시절 세계 average(평균) 경제성장률이 1% 내외였으나 日本(일본)과 한국은 그 보다 높은 2~3%의 경제성장률을 내어 경제발전에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레포트/경영경제
식민지 근대화론 과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이란, 최근 日本(일본)정계와 학계에서 주장하고 있는 日本(일본)의 한국 식민지 통치가 한국을 ‘개발’시키고 ‘근대화’시켜 ‘혜택’을 주었다는 학설이다.